주식

이마트 부진한 실적 속에서 찾는 희망의 싹

KeepGooing 2024. 10. 22. 15:37
반응형

미국에 코스트코가 있다면 우리나라는 이마트가 있다. 아니 미국에 월마트가 있다면 우리나라는 이마트가 있다.

근데 주가는 잘 모르겠다.

 

그동안 이마트는 다양한 사업을 실패하면서 순이익 계속해서 떨어졌다. 

시장의 흐름을 잘 읽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단 한명도 없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삐에로쇼핑 이슈는 됐으나 사업성은 글쎄? 결국 철수

 

g마켓을 무리하게 인수하여 (인수 금액 3조 5천억원 이상 투입으로 알고있다.)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갖고 있는 자산이 워낙 우량해서 버티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이미 이마트는 나락으로 가 있는 상태이다.

 

주가도 마찬가지이다. pbr 0.15배 ... 처참하다.

 

최근에 인적쇄신 단행으로 대표도 바뀌고 .. 직원들도 많이 해고하면서 ㅠ 실적이 조금씩 개선되는 기미는 보인다.

다만,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그래도 작은 희망의 싹 정도는 찾은 느낌이다.

pbr이 워낙에 낮아 관심을 갖고 현재 이마트에 대해 정리해봤다. 

지금 당장 매수는 글쎄 안할거같다.

 

 

 

이마트 부진한 실적 속에서 찾는 희망의 싹

 

이마트 사업구조 살펴보러가기

 

 

항목

세부 내용

영업이익률 최근 연결 영업이익률: 0.65%
  영업이익: 471억 원
  매출: 7조2,067억 원
  영업 효율성이 제한된 상태임.
------------------ -----------------------------------------------------------
매출 성장률 과거 3년간 평균 연간 매출 성장률: 약 6%
  1분기 매출 증가: 단 1%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
------------------ -----------------------------------------------------------
재무 상태 2023년 연결 기준 영업손실: 469억 원
  주요 원인: 신세계건설의 실적 부진
  재무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
------------------ -----------------------------------------------------------
성장성 분석 2024년 매출 전망: 전년 대비 2.8% 증가, 약 30조3000억 원
  이전 예상치인 6%보다 낮아 향후 성장성에 대한 우려 존재.
------------------ -----------------------------------------------------------
온라인 사업 SSG닷컴: 1분기 EBITDA 기준 54억 원 흑자
  G마켓: 2023년 4분기 8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 성공
  온라인 부문의 회복 가능성.
------------------ -----------------------------------------------------------
실적 개선 1분기 영업이익: 전년 동기 대비 245% 증가, 471억 원
  긍정적인 신호로 향후 실적 개선 기대.
------------------ -----------------------------------------------------------
결론 영업이익률과 매출 성장률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온라인 사업 부문의 성장은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투자자는 장기적 성장 가능성과 단기적 실적 부진을 고려해야 함.

 


투자유의사항

이글은 매수추천 글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손실은 본인에게 귀속됨을 명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