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 기업 개요
- 주요 연혁
- 재무 현황 (2023년 기준)
- 주요 제품
- 주요 지분 현황 (2024년 11월 11일 기준)
- 향후 전략
기업 개요
DS단석(구 단석산업)은 1984년 7월 1일 설립된 화학 기업으로, 2023년 12월 22일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사업 영역은 바이오에너지, 배터리 리사이클링, 플라스틱 리사이클링입니다. 본사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해 있으며, 한승욱, 김종완 대표이사가 공동 경영을 맡고 있습니다. 회사는 'D.S. 2025 Only One' 비전 아래 혁신, 도전, 열정, 공감을 핵심 기업가치로 삼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과 인류사회 공헌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혁
- 1984년 7월: 회사 설립
- 2023년 8월: 주식회사 디에스단석으로 상호 변경
- 2023년 7월: HVO 전처리 공장 착공 (350억 투자)
- 2023년 12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재무 현황 (2023년 기준)
- 매출액: 1조 108억원
- 영업이익: 781억원
- 당기순이익: 440억원
- 자본금: 46억 5,315만원
주요 제품
- 바이오에너지 (매출 비중 63.38%)
- 바이오디젤
- 바이오중유
- 수첨바이오디젤(HVO)
- 배터리 리사이클링 (매출 비중 23.11%)
- 재생연(폐납축전지 재활용)
- 리튬이온배터리(LIB) 리사이클링
-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매출 비중 6.89%)
- PVC 안정제
- PCR(Post-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
주요 지분 현황 (2024년 10월 30일 기준)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자
- 한승욱 외 특별관계자: 40.70%
- 한승욱 회장이 주요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4년 8월 7일 한지희의 장내매수로 지분이 소폭 증가했습니다.
주요 기관 투자자
- 스톤브릿지에코제1호사모투자 합자회사: 5.47%
- 2023년 12월 22일 신규 상장 당시 18.60%의 지분을 보유했으나, 지속적인 매도로 지분율이 감소했습니다.
- 주요 변동 내역:
- 2024년 5월 29일: 11.01%로 감소
- 2024년 7월 3일: 8.96%로 감소
- 2024년 10월 29일: 6.43%로 감소
- 2024년 10월 30일: 5.47%로 감소
- 디에스자산운용: 7.02% (2023년 12월 26일 기준)
- 신규 상장 당시 7.85%의 지분을 보유했으나, 장내매도로 지분율이 소폭 감소했습니다.
자기주식 및 임원 지분 정보
- 자기주식 정보: 제공된 데이터에서 확인되지 않음
- 임원 지분 정보: 구체적인 정보 제공되지 않음, 다만 최대주주인 한승욱 회장이 경영에 참여하고 있음
주요 특징
- 최대주주 그룹의 지분율이 40% 이상으로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관 투자자들의 지분 매각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스톤브릿지에코제1호사모투자의 지분 감소가 두드러집니다.
- 2023년 12월 22일 유가증권시장 상장 이후, 기관 투자자들의 지분 변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분 구조는 DS단석의 안정적인 경영과 함께, 시장에서의 유동성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주주의 높은 지분율은 회사의 장기적인 전략 실행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기관 투자자들의 지분 매각은 시장에서의 거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략
- 바이오에너지 사업 강화
- HVO(수소처리식물성기름) 전처리 플랜트 구축: 2023년 9월 착공, 연간 30만톤 규모
- 바이오항공유(SAF) 시장 진출
-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현재 수출 비중 42.60%)
- 2026년경 HVO 플랜트 구축으로 1·2세대 바이오디젤 동시 생산
- 2028년까지 HVO 및 바이오항공유 본격 생산, 그레이·그린 수소 플랜트 가동
-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확대
- 2024년 1월 군산 1공장 내 LIB 리사이클링 공장 완공 (연간 8000톤 처리 능력)
-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해외 거점 공장 착공 추진
- 2025년 습식금속추출 공장과 삼원계(NCM) 전구체 리사이클링 공장 건설
-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공장 건설 계획
-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기술 개발 및 사업 확장
- PCR 플라스틱 기술 고도화: 순도 99% 이상의 고순도 플라스틱 선별 기술 개발
- 자동차, 가전제품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신규시장 개척 및 선점
-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 현재 수출 비중 42.60%에서 더욱 확대
- 미국과 EU 국제 인증 취득을 통한 해외 판로 개척
- 연구개발 및 투자 확대
- 각 사업 부문의 플랜트 구축 및 기술 연구개발에 주력
- 공모 자금을 활용한 재무구조 개선 및 신사업 투자
DS단석은 바이오에너지, 배터리 리사이클링,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분야에서 글로벌 자원 순환 선도 기업으로 성장 모색 중입니다.
투자 주의 경고
모든 투자에는 손실 위험이 따릅니다.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모든 자산 투자에는 시장 변동성과 리스크가 수반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단기적인 변동성에 따른 손실 위험을 인지하고, 자신의 재무 상황과 투자 목적을 철저히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투자 결정 전 전문가와의 상담을 권장하며, 본 블로그나 기타 정보 제공자가 제시하는 정보는 투자에 대한 조언이나 추천이 아닌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공단의 투자 분석: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와 장기적 성장 전략 (0) | 2024.11.12 |
---|---|
삼성전자, MS·메타에 맞춤형 AI칩 개발 착수 및 파운드리 사업과의 연관성 (0) | 2024.11.12 |
Norges Bank 지분현황 투자 분석 IR 자료 (0) | 2024.11.11 |
FIL LIMITED의 투자 분석: 중소형주 집중 투자와 성장 전략 (0) | 2024.11.11 |
Kopernik Global Investors, LLC의 투자 분석: 장기적 관점과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전략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