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반도체 소재의 숨은 강자, 티씨케이의 견고한 재무 이야기

KeepGooing 2025. 1. 24. 00:17
반응형

 

 

티씨케이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2023년에 전년 대비 실적이 다소 주춤했으나, 2024년에는 매출과 이익 모두 반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반적인 재무구조가 견고(낮은 부채비율, 높은 자기자본이익률 등)하며, 꾸준한 현금흐름과 배당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전망도 비교적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인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반도체 소재의 숨은 강자, 티씨케이의 견고한 재무 이야기

 


1. 매출 및 이익 추이

  • 매출액
    • 2021년 2,708억 → 2022년 3,196억으로 늘어났으나, 2023년 2,267억으로 감소.
    • 2024년에는 2,779억으로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영업이익
    • 2021년 1,034억 → 2022년 1,270억으로 증가 후, 2023년 667억으로 크게 줄어듦.
    • 2024년 828억으로 회복 기대.
  • 순이익
    • 2022년에 941억이었으나 2023년 612억으로 하락, 2024년 716억 수준으로 개선 전망.

=> 2023년 실적이 일시적으로 부진했지만, 2024년엔 매출·이익이 회복하며 재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2. 수익성 지표

  • 영업이익률
    • 2021년 약 38%에서 2022년 약 40%로 상승했으나, 2023년 약 29%로 하락.
    • 2024년에도 29%대 후반 ~ 30% 초반으로 회복 예상.
  • 순이익률
    • 2022년 약 29% → 2023년 약 27%로 다소 하락.
    • 2024년에는 25~26%대로 전망되어 약간 낮아지긴 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임.
  • ROE
    • 2021년 26.85% → 2022년 24.87%로 소폭 하락, 2023년엔 14%까지 낮아졌으나
    • 2024년 14.73%로 재상승 예상.

=> 전년 대비 수익성이 일부 훼손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의 이익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다시 개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재무구조

  • 부채비율
    • 2021년 약 15% → 2023년 8%대까지 하락, 2024년에도 8% 안팎으로 전망.
    • 업계 평균 대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재무안정성이 뛰어남.
  • 자본금 및 자본총계
    • 자본금은 58억으로 변동이 없고, 자본총계는 꾸준히 증가(2023년 4,583억 → 2024년 5,136억 예상).
    • 낮은 부채비율에 높은 자기자본 누적으로 안정적 구조.
  • 현금흐름
    • 2022년 영업활동현금흐름(CFO) 873억에서 2023년 210억으로 급감했으나, 2024년엔 518억으로 개선 전망.
    • 투자활동현금흐름(CFI)은 계속해서 대규모 투자가 진행 중(2022년 –960억, 2023년 –336억), 2024년에도 –565억 수준 예상.
    • 설비투자(CAPEX)가 2023년에 크게 늘었다가 2024년에는 줄어드는 추이.
    • FCF(자유현금흐름)가 2023년 –265억에서 2024년 668억으로 크게 개선될 전망.

=> 2023년에 영업실적 둔화와 투자 증가로 CFO가 줄어들었지만, 2024년에는 투자 규모가 줄고 영업이익이 회복되면서 FCF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낮은 부채비율로 인해 이자비용 부담도 매우 적어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입니다.


4. 주당가치(EPS/BPS) 및 투자지표(PER/PBR)

  • EPS
    • 2022년 8,056원에서 2023년 5,246원으로 하락 후 2024년 6,133원 전망.
  • BPS
    • 2023년 39,252원 → 2024년 43,991원으로 증가 예상.
  • PER
    • 2022년 11.74배 → 2023년 21.22배로 급등(주가 대비 이익 감소 영향)
    • 2024년엔 12.07배로 회복 전망.
  • PBR
    • 2023년 2.84배 → 2024년 1.68배로 낮아질 전망(자기자본 및 이익 증가 가정 시).

=> 2023년에 이익 감소로 밸류에이션이 다소 높아졌으나, 2024년 이익 반등 시 PER이 다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다기보다는 이익 하락이 일시적이며 회복 시 저평가 영역에 진입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5. 배당 정책

  • DPS(배당금)
    • 2022년 1,700원 → 2023년 1,200원 (실적 부진으로 축소)
    • 2024년 1,400원 전망
  • 배당성향
    • 꾸준히 20%대 초중반대 유지.
  • 배당수익률
    • 1~2% 초중반대로 추정, 시장 평균과 비교 시 크게 높지는 않으나 지속성은 높아 보임.

=> 이익 증감에 맞춰 배당도 유동적으로 변동하고 있지만, 배당성향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주주환원 정책을 안정적으로 이어가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6. 종합 전망

  1. 수익성 회복 가능성: 2024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EPS도 개선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2. 견고한 재무구조: 부채비율이 매우 낮고, ROE가 여전히 두 자릿수를 유지하는 등 재무안정성이 우수합니다.
  3. 현금흐름 개선: 2023년 일시적 둔화 이후, 2024년에는 투자규모 축소·영업이익 회복으로 FCF가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4. 배당정책 지속: 배당성향을 20%대 유지하며 배당금도 크게 줄이지 않고, 이익 상황에 맞춰 조정해 주주친화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2023년 실적 부진은 일시적인 요인일 가능성이 높고, 2024년부터는 매출·이익 정상화에 따른 재무지표 개선이 기대됩니다. 낮은 부채비율과 높은 잉여현금흐름으로 미래 투자 여력이 충분하고, 주주환원도 꾸준히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중장기적으로는 양호한 성장성과 안정성을 모두 갖춘 기업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투자 매력도 역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Disclaimer: 본 블로그의 정보는 개인의 단순 참고 및 기록용으로 작성된 것이며, 주식 거래 추천 글이 아닙니다.

개인적인 조사와 생각을 담은 내용이기에 오류가 있거나 편향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및 주식 시장은 변동성이 크므로, 독자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본 블로그의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손해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